보건사업

정신건강 재활프로그램 운영

  • 기 간 : 연 중(매주 1회)
  • 대 상 : 관내 거주 만성정신장애인 및 가족
  • 내 용
    - 일상생활관리, 증상관리 및 약물관리, 사회재활프로그램 등
    - 정신건강화합한마당 참석 등

임상자문의 상담

  • 기 간 : 연 중(매주 1회)
  • 대 상 : 정신과적 어려움이 있는 지역주민
  • 추진절차
    전화상담 예약 - 정신건강 의학과 전문의 상담 진행
  • 방법 : 사전 예약 후 내소상담

찾아가는 마음건강 주치의 상담

  • 기 간 : 연 중(매주 1회)
  • 대 상 : 거동불편자, 내소상담이 어려운 관내 주민
  • 추진절차
    전화상담 예약 - 정신건강 의학과 전문의 방문상담 진행
  • 방법 : 사전 예약 후 방문상담

사례관리

  • 기 간 : 연 중(매월 2회)
  • 대 상 : 관내 정신장애인 중 사례관리에 동의 한 등록 회원
  • 추진절차
    전화상담 예약 - 정신건강전문요원 상담 및 평가(1차) - 임상자문의 상담 및 평가(2차)
    센터 등록 및 타기관 연계 -센터 등록시 서비스 제공
  • 방법 : 가정방문, 지역방문, 전화, 내소상담 등

생애주기별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 기 간 : 연중
  • 대 상 : 지역주민
  • 내 용
    - 우울증 선별검사 및 중증 우울 대상자 관리
    - 청소년 생명사랑 존중 인식 개선 교육
    - 산전·산후 우울증 검사 및 교육
    - 우울증 예방 홍보 - 우울증 고위험군 정신의료기관 연계 등
    - 직장인, 군인, 노인대상 우울증 교육
    - 경로당 정신건강이동상담실 운영 등

학령기 정신건강프로그램 지피의 친구들

  • 기 간 : 연중
  • 대 상 : 초등학생 저학년
  • 내 용
    - 학령기 어려움에 대한 대처능력 교육
    - 이야기 관련 다양한 활동(그림그리기, 역할극, 게임 등) 구성
    - 프로그램 전후 설문지, 만족도 조사 시행

자살예방사업

자살예방 게이트키퍼(생명지킴이) 양성
  • 기 간 : 연중
  • 대 상 : 13세이상 지역주민
  • 내 용
    - 보건복지부 인증 자살예방교육 보고.듣고.말하기 교육
    - 보건복지부 인증 안녕하십니까? 교육 등
    - 지역사회에서 실제 생명지킴이 역할 할수 있도록 교육 후 보수교육 실시
  • 기대효과
    -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을 통해 자살 고위험자에 대한 조기발견 및 위기 개입으로 자살률 감소
생명존중안심마을
  • 기 간 : 연중
  • 대 상 : 읍·면 기관
  • 내 용
    - 고위험군 발굴·개입·연계
    - 자살예방 인식개선 캠페인
    - 자살예방교육
    - 자살 고위험군 맞춤형 서비스 지원
    - 자살위험 수단 차단
정신 유족 지원 서비스
  • 기 간 : 연중
  • 대 상 : 유족(가족, 친구, 동료, 지인 등)
  • 내 용
    - 의뢰동의서 작성 후 우울증 선별검사 실시
    - 임상자문의 및 마음건강주치의 상담
    - 개인정보 및 서비스 제공 동의 후 지속적 관리
    - 정신건강 치료비, 법률 및 행정처리 등 필요한 서비스 연계
  • 기대효과
    - 자살 유족 인식개선 및 고통을 덜어 줄 수 있는 지역사회 체제 마련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 기 간 : 연중
  • 대 상
    - 정신의료기관에서 우울 불안 등으로 인하여 심리상담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자(필요서류:진단서 혹은 소견서)
    - 정신건강복지센터, 대학교 상담센터,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Wee센터/Wee 클래스 등에서 심리상담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자(필요서류:의뢰서)
    - 국가 건강검진 중 정신건강검사(우울선별검사 PHQ-9) 중간 정도의 우울(10점이상) 확인된 자(필요서류:건강검진 결과통보서)
    - 자립준비청년 및 보호연장아동(필요서류:보호종료확인서, 시설재원증명서 또는 가정위탁보호확인서)
  • 지원내용
    유형별 정부지원금 및 본인부담금(1회당)
    구분 1급 유형 2급 유형 
    정부지원금 본인부담금 합계 정부지원금 본인부담금 합계
    기준 중위소득 70% 이하 80,000원 - 80,000원 70,000원 - 70,000원
    70% 초과∼120% 이하 72,000원 8,000원 80,000원 63,000원 7,000원 70,000원
    120% 초과∼180% 이하 64,000원 16,000원 80,000원 56,000원 14,000원 70,000원
    180% 초과 56,000원 24,000원 80,000원 49,000원 21,000원 70,000원
    유형별 정부지원금 및 본인부담금(총 8회)
    구분 1급 유형 2급 유형
    정부지원금 본인부담금 합계 정부지원금 본인부담금 합계
    기준 중위소득 70% 이하 640,000원 - 640,000원 560,000원 - 560,000원
    70% 초과∼120% 이하 576,000원 64,000원 640,000원 504,000원 56,000원 560,000원
    120% 초과∼180% 이하 512,000원 128,000원 640,000원 448,000원 112,000원 560,000원
    180% 초과 448,000원 192,000원 640,000원 392,000원 168,000원 560,000원
  • 전문 심리상담서비스(8회) 이용 바우처 제공(생성일로부터 120일 이내에 서비스 이용 가능)
    (소득수준에 따라 본인부담금 0~30% 발생)
    선정된 대상자는 주소지에 상관없이 서비스 제공기관을 선택하여 해당기관에 서비스 신청(전화, 인터넷, 방문신청)
    지역별 제공기관 현황은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포털에서 검색 가능(www.socialcervice.or.kr)
  • 신청방법
    - 주소지 관할 행정복지센터 방문하여 구비서류 제출 및 신청
    - 온라인(복지로) 접수 이용가능 (만 19세 미만은 방문접수만 가능)

문의전화

  • 주간 : 정신건강복지센터(보건소) ☎ 061)470-6548, 6945
  • 주말 및 야간 : 정신건강위기상담전화 ☎ 1577-0199/ 자살예방상담전화 ☎ 109
만족도


관리담당
보건소 마음건강팀   061-470-6028
갱신일자
2025년 01월 2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