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인박사유적지

4차 메뉴 정의

마유리·김은정, 2015, 〈4대왕 추모제,백제고분제·왕인박사춘향대제에 나타난 제례복식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6권 5호, 한국기초조형학회.

편저자 : 마유리·김은정   |   번역자 :   |   유형 : 기타( 논문 )   |   쪽수 : 13 (243-255)   |   총권수 : 권
마유리·김은정, 2015, 〈4대왕 추모제,백제고분제·왕인박사춘향대제에 나타난 제례복식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6권 5호, 한국기초조형학회. 이미지 1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축제에 나타난 제례복식의 재현 양상 4. 백제관련 축제에 나타난 제례복식의 비교분석 5. 결론 축제에 나타난 제례복식은 축제 개최 시작과 함께 행해지는 프로그램에서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전통복식인 동시에, 축제 주제의 이해를 돕고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동일한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다양한 전통역사문화축제에 나타난 제례복식의 유형을 분류하여 재현양상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축제의 배경이 백제시대인 백제문화제, 한성백제문화제, 영암왕인문화축제의 제례의식에 착용된 제례복식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다양한 백제관련 축제에서 연행되고 있는 제례의식에 나타난 제례복식을 비교해보면 복식품목의 구성, 소재, 색상, 형태, 착장 방식면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비교분석을 통해 도출된 백제관련 축제에 나타난 제례복식의 특성은 제례복식의 유형이 조선시대 제복(祭服)과 백제복식의 절충형, 복합형, 단독형으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현상은 제례의식을 축제 프로그램 속에서 함께 공연화시킨 결과로 생각되며, 제례복식의 다양함으로 축제행사의 극적인 효과를 추구하고자 했던 목적을 염두에 두더라도 제례절차에 적합하면서 제례복식의 대표적 속성인 제의성을 수반한 전통제례복식을 적용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Ritual costumes in festivals are traditional costumes that are first encountered in the programs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beginning of holding a festival and at the same time, important factors to help understand the theme of festivals and give visual effects to the festivals.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type of ritual costumes appeared in various traditional historic-cultural festivals in the background of the same era and present the patterns of reproduction. Accordingly, this study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itual costumes used for ritual ceremonies of three major festivals: Baekje cultural festival, Hanseong Baekje cultural festival, and Yeongam Wangin cultural festival in the background of Baekje period. In the comparison of ritual costumes used for ritual ceremonies in various Baekje-related festivals, there appeared a difference in composition, materials, color, shape, and mode of wearing of costume items. This comparative analysis suggested that a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ritual costumes appeared in Baekje-related festivals, the type of ritual costumes appeared in various ways: compromised type, combined type, and single type in ritual costumes of Joseon Dynasty and those of Baekje period. This phenomenon is deemed as the result of integrating ritual ceremony into festival programs. So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traditional ritual costumes having rituality, a representative property of ritual costumes as well as suitability for ritual procedures need to be applied, while considering the purpose of pursuing for the dramatic effects of festivals by varying ritual costumes.

의견쓰기

0 개의 의견이 있습니다.

의견저장